본문 바로가기

의석수2

위성정당 비례연합정당을 만드는 이유 4.15 총선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총선의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뜨거운 관심 속에 가장 핫한 게 위성정당이 아닐까 싶습니다. 위성정당, 비례정당, 비례연합정당 등 많은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뭐가 뭔지 헷갈리네요. 결국 같은말인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위성정당이란 위성은 행성의 인력에 의하여 그 주위를 도는 천체입니다. 지구의 위성인 달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달은 지구의 끌어 당기는 인력에 의해 지구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이처럼 큰 정당(지구)의 힘에 의해 작은 정당(달)이 움직인다고 해서 위성정당이라고 부릅니다. 그럼 왜 이런 위성정당을 만드는 걸까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작은정당에게 힘을 실어줘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취지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지역구에 유리한 거.. 2020. 3. 13.
비례대표란 궁금증 해소 비례대표가 뭐지 2002년 3회 지방선거 때 도입된 제도입니다. 국회의원 선거에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처음 적용됐습니다. 유권자는 투표 용지 두 장을 받아 한 장은 지역 출마자에게, 다른 한 장은 지지 정당에 투표를 하게 됩니다. 정당에 던진 표의 득표비율을 따져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거지요. 정책을 보고 정당을 투표하는데 그 당에서 준비해 놓은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당선되는 겁니다.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총 300명입니다. 전국 253개의 지역구에서 소선거구 다수대표제로 1명의 지역구 국회의원을 뽑고 나머지 47석 비례대표 의석을 정당 득표율로 계산해서 각 정당들이 나눠 갖게 되는 겁니다. 비례대표는 특정 지역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활동할 뿐, 권한과 역할에서 지역구 의원과 다른 건 없다... 2020.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