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표2

어렵다 선거 용어 들어도 들어도 어려운 선거 용어 정리 경선 둘 이상의 후보가 경쟁하는 선거. 어느 정당의 후보가 되기 위한 선거가 바로 경선. 대선후보 경선, 총선 경선 등 총선 국회의원 전부를 한꺼번에 선출하는 선거 대선 대통령을 뽑는 선거 지방선거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뽑는 선거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발전을 위해 지역정책을 수립 또는 주민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하고, 지역주민의 행복과 지역발전을 위한 4년의 활동은 다음 선거에서 주민의 평가를 받게 됩니다. 정당 정치적인 주의나 주장이 같은 사람들이 정권을 잡고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 석패율제 지역구에서 아깝게 당선되지 못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당선될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선거에 나온 후보가 .. 2020. 3. 8.
비례대표란 궁금증 해소 비례대표가 뭐지 2002년 3회 지방선거 때 도입된 제도입니다. 국회의원 선거에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처음 적용됐습니다. 유권자는 투표 용지 두 장을 받아 한 장은 지역 출마자에게, 다른 한 장은 지지 정당에 투표를 하게 됩니다. 정당에 던진 표의 득표비율을 따져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거지요. 정책을 보고 정당을 투표하는데 그 당에서 준비해 놓은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당선되는 겁니다.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총 300명입니다. 전국 253개의 지역구에서 소선거구 다수대표제로 1명의 지역구 국회의원을 뽑고 나머지 47석 비례대표 의석을 정당 득표율로 계산해서 각 정당들이 나눠 갖게 되는 겁니다. 비례대표는 특정 지역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활동할 뿐, 권한과 역할에서 지역구 의원과 다른 건 없다... 2020. 3. 7.